본문 바로가기
이슈

제21대 대통령 후보 토론회 중계 생방송 (시간 및 시청 방법 다시보기)정리

by 수달쟁이 2025. 5. 16.

21대 대통령 후보자 토론회 생중계는 5월 18일 밤 8시부터 시작되며, TV·유튜브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초청·비초청 후보 정리까지 확인해보세요!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가 2025년 5월 18일(일) 저녁 8시, 서울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생중계됩니다. 이번 토론회는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유권자의 판단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보의 장으로 기능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토론회 핵심 정보 요약

구분 내용
일시 2025년 5월 18일(일) 20:00 ~ 22:00
주제 저성장 극복, 청년 고용, 부동산, 통상 전략 등 경제 전반
생방송 채널 KBS 1TV, MBC, SBS, 유튜브(선관위 공식, 언론사 등)
형식 공통질문 + 주도권 토론 + 상호 질의응답
참여 후보자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권영국(민주노동당)

👇 진행된 토론회를 다시 보시려면 아래를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후보자 토론회란?

대통령 후보자 토론회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주관하며, 「공직선거법」 제82조의2에 근거해 개최됩니다. 초청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회 의석 5석 이상 정당 소속
  • 직전 전국단위 선거 정당 득표율 3% 이상

따라서 이번 1차 토론회에 초청된 4명 외에도 비초청 후보자 토론회가 5월 19일(월) 밤 10시에 별도로 열립니다.

생중계 시청 방법

TV 채널

  • KBS 1TV
  • MBC
  • SBS
  • 지역 케이블방송 (편성표 참고)

온라인 스트리밍

  • 중앙선거방송토론위 홈페이지
  • 중앙선관위 공식 유튜브
  • 후보자 및 정당 유튜브 채널
  • 주요 언론사 유튜브 (연합뉴스TV, YTN 등)

모바일(스마트폰/태블릿)에서도 고화질로 실시간 시청 가능합니다.

비초청 후보자 토론회 안내

비초청 후보자 3인(구주와, 황교안, 송진호)은 아래 일시에 별도 공론회에 참여합니다.

  • 일시: 2025년 5월 19일(월) 22:00 ~ 자정
  • 주제: 자유 주제 (사회자 제한 없음)
  • 시청: 선거방송토론위 홈페이지, 유튜브

이 공론회는 다양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균형 잡힌 판단에 도움을 줍니다.

향후 토론 일정 요약

회차 날짜 시간 주제
1차 5월 18일(일) 20:00~22:00 경제
2차 5월 23일(금) 20:00~22:00 사회 통합
3차 5월 27일(화) 20:00~22:00 정치 양극화 해소
 

모든 토론회는 공중파+온라인 동시 생중계되며, 방송 후 다시보기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대통령 후보자 토론회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KBS, MBC, SBS 등 지상파와 유튜브(중앙선관위, 각 후보 채널, 언론사)를 통해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Q2. 첫 토론회의 핵심 주제는 무엇인가요?

A. 저성장 극복, 민생경제, 청년 고용, 부동산 등 ‘경제’가 중심 주제입니다.

Q3. 비초청 후보자도 토론회에 나오나요?

A. 네. 5월 19일 밤 10시, 별도 토론회에 참여해 다양한 이슈를 다룹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2025 신청 누리집)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이 2025년을 맞아 제도 확대와 함께 본격 시행됩니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과 인건비 부담이 큰 중소기업 모두를 위한 제도로, 청년은 최대 480만 원 인센티브, 기

ssoinfo.tistory.com

 

SKT 유심 재설정(포맷) 신청 방법 및 교체 차이점 총정리

"> SK텔레콤(SKT)이 2025년 5월 12일부터 도입한 유심 재설정(유심 포맷) 서비스, 들어보셨나요? 기존 유심을 그대로 쓰면서도 보안을 새롭게 강화할 수 있는 이 기술은, 해킹 대응책으로 큰 주목을

ssoinfo.tistory.com

 

2025 환급금 병원비 환급·종합소득세 환급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몰라서 못 받는 돈”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대표적으로 병원비 환급금과 종합소득세 환급금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세청을 통

ssoinfo.tistory.com